2025/04 2

Kafka란 무엇인가? 그리고 메시지 큐에 대해서

들어가기에 앞서갑자기 Kafka와 메시지 큐라는 주제에 대해서 글을 쓰게된 이유는 두 가지가 있다.실무에서 내가 맡은 기능을 점진적으로 고도화함에 있어서 개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앞으로 점점 더 트래픽이 늘어날 예정이라서 이대로는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래서 기존의 하나에 묶여있는 로직을 분리하고 더 많은 처리를 하기 위해 메시지 큐 방식을 도입하는건 어떨까 하는 고민과 팀내에서 논의가 오가고 있었다.그러던중 최근 핵핵핵 망해버린 나의 직무면접에서 논의중이라고 했던 부분을 파고들어 면접 내내 질문이 쏟아지면서 정말이지 망쳐버렸다.광탈은 너무나도 슬프지만 이참에 개선을 해보고자 제대로 메시지 큐 방식의 처리를 공부 하려고 작성하게 되었다.여기에서는 간단한 개념과 기본적인 동작의 흐름을 소개한다. ..

스터디 2025.04.15

@Transacntional 의 옵션들

들어가며...Spring Framework를 이용해서 개발을 하다보면 사용하게 되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보다가 문득 내가 사용해본 옵션 말고어떠한 옵션들이 또 있을까? 궁금해져서 라이브러리 내부를 따라가보았다.내부에 있는 옵션에 대한 설명들을 보면서 어떤 옵션들을 제공하는지 알아보자. package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arget({ElementType.TYPE, ElementType.METHOD})@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Inherited@Documentedpublic @interface Transactional { /** * The transaction propagation type..

백엔드/Spring 2025.04.01
반응형